융은 인간이 온전하게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통합, 음과 양의 통합을 제시한다.
그는 내면에 있는 또 다른 나는 내가 가진 성(性)과는 다른 성을 지닌다고 생각했고, 그것을 통합시키는 것이 참 사람이 되어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남성이나 여성, 그 어떤 것도 한 쪽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다는 주장이다.
가톨릭은 수천년의 역사를 거쳐오면서 가톨릭 안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을 잘 융합시켜 왔다. 하나님이 남성을 상징한다면, 마리아는 여성을 상징한다. 남성을 상징하는 하나님이 남성성을 대표한다면, 마리아는 여성성을 대표한다. 진취적이고 성취지향적이지만 파괴적이고 폭력적인 남성성을 여성성은 온화한 것으로 바꾸어내는 것이다.
하지만, 인류의 역사는 남성 중심의 역사이고, 남성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려는 노력들이 득세해 왔다.
아마도 '다빈치 코드'는 그렇게 역사의 뒤안길에서 감추어진 여성성을 끌어내려는 시도들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화와 기호학이 뒤섞이고, 그림 속에 담겨진 전설들을 좇아 가면서 지은이의 돋보이는 상상력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교황청을 뒷배경으로 하는 소설들의 공통점대로 무엇인가 있는 듯 하지만, 별로 남는 것 없는 결론을 보여주는 것은 마찬가지인 것 같다. '다빈치 코드' 역시 교황청에는 뭔가 숨겨진 것이 있다는 것에서 출발하고, 그 안에는 아주 다양한 음모들이 엇갈리고 있으며, 교황청은 진리를 나타내는 곳이 아니라 비밀을 제거하고 감추어두는 곳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그것을 발견해내는 것은 그간의 기독교의 진리를 뒤엎는 것이며 교황청은 엄청난 저항을 받아야 하는 것처럼 그려 놓는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다빈치 코드가 말하려고 하는 주된 주제 중의 하나인 예수는 아버지였다는 부분. 그리고 그 후손들이 있고, 후손들의 가계도가 있으며, 그것을 보호하려는 세력과 제거하려는 세력이 있어 왔다는 이야기. 이 얼마나 자주 이야기되었던 전설같은 이야기인가? 예수가 인도에 가서 몇 년을 수련했다는 이야기를 포함해서 끊임없이 떠돌던 낭설에 불과한 이야기 중에 하나이다. 예수가 아버지였다 하더라도 그것이 성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성배를 찾았는데, 그것이 사람이었다는 것이 과연 기독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이다.
다빈치 코드를 처음 읽을 때에는 지은이가 잃어버린 여성성을 찾기 위해 바른 길로 들어갔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여성성을 찾기보다는 변죽올리기에 바빴던 것 같다. 도무지 이 책을 다 읽고 난 다음, 그래서 성배를 찾았는데, 그 다음엔 뭐야, 라는 질문말고는 떠오르는 말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