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검색


728x90
위르겐 몰트만 / 한들출판사 / 1998년 4월

위르겐 몰트만. 희망의 신학이라 이름하는 20세기 신학의 거장. 그의 70회 생일을 맞아 내노라하는 동시대의 신학 거장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이름만으로도 한 시대를 풍미하고 있는 대신학자들. 에베하르트 윙엘, 도로테 죌레, 요한 밥티스트 메츠, 엘리자베트 몰트만-벤델, 필립 포터, 한스 큉. 뭐라고 이름을 붙인들 그들의 명성에는 미치지 못할 듯 싶다. 이들이 몰트만의 70회 생일에 모여 '나는 어떻게 변하였는가'라는 제목으로 세미나를 열었다. 무엇이 자신들의 신학을 방향지었고, 누구에게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한 사람씩 돌아가며 고백하였다. 이 세미나의 결과물이 바로 <나는 어떻게...>이다. 세미나에 나선 사람들 모두 한결같이 시대의 아픔, 그리고 그 아픔을 어떻게 짊어져야 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고통스러운 고민을 이야기한다. 

윙엘에게 충격적이었던 것은 '현존 사회주의의 몰락'이었다. 또한 반면에 스탈린주의 사회 안에서 자유를 말하여도 처벌받지 않는 장소로 카바레와 교회를 발견한 것이 그의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정치적 상황 가운데 구체적으로 그 상황을 증언하는 이들에게서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말씀에 기대게 되었다. 몰트만은 공군 지원단의 일원으로 고사포 부대원이었는데,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에 자신의 동료들이 다 죽고 자신만 살게 되었다. 이날 밤에 처음으로 몰트만은 하나님에게 외쳤다. 물리학과 수학에 대한 들끓던 관심은 자연스럽게 끊어지고 '아우슈비츠'와 '히로시마'가 몰트만을 동요하게 했다. 그리고 그는 바르멘 신학선언을 초안하며 독일고백교회 운동을 이끌었다. 도로테 죌레 역시 아우슈비츠의 기억을 지적한다. 어떻게 아우슈비츠 이후의 신학이 어째서 그 이전의 신학과 똑같을 수 있는지 죌레는 이해할 수 없었다. 그리고 고가르텐을 통해 개념을 바꾸는 용기와 다시 질문하는 법, 역설적으로 되묻는 법을 배웠다. 

메츠 역시 아우슈비츠의 재앙으로 얼룩진 역사를, 어째서 신학이 그러한 재앙을 별로 쳐다보지도 않고 듣지도 않는지에 깊은 질문을 던졌다.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겪게 되었던 바닥공동체 생활이 그를 변화시켰다. 그라이나허는 월요일에 정치적인 사회에서 더 많은 정의를 위해 헌신하지 않는다면 일요일에 강단에서 자유, 평등, 우애, 정의와 후원에 대해 설교할 수 없다는 점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가 끊임없이 반추한 개념은 예언자에 관한 것이었다. 이 시대에 변함없이 예언자가 필요하며, 예언자적 운동이 있어야 한다. 그것은 지난 시대 속에서 끝나버린 역사가 아니다. 필립 포터 역시 그에게 주어진 현실의 상황-context-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해야 했다. 11살부터 식민 통치에 대해 반기를 들어야 했던 포터는 성서 본문은 반드시 이스라엘 백성과 초대 교회의 역사, 여러 세기를 지나온 교회의 역사, 그리고 이 세계의 역사와 그 현실의 상황 안에서 다루어져야만 한다고 확신한다. 

우리의 역사는 어떠한가? 
근대사만 돌아보아도 외세의 식민지가 되어야 했다. 식민의 상태에서 일제에 부역하던 자들, 친일파는 지금도 사회의 지도층이다. 전쟁을 겪어야 했다. 곳곳에서 학살이 있었고, 말로 할 수 없는 참상들을 지금까지 꺼내 놓을 수도 없었다. 긴긴 독재의 세월이 있었다. 그리고 설핏 민주화되었다는 요즘. 그러나 우리의 신학은 근대사 내내 똑같았다. 식민 침략과 전쟁과 독재, 민주화에도 우리 신학은 변한 것이 없었다. 예수 그리스도라는 복음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역사가 바뀌고 상황은 바뀌는데 그 지평은 바뀌어야 하지 않는가? 아우슈비츠를 겪고 나서도 변함없는 그 신학은 잘못된 것이다. 우리의 신학은 무엇이 얼마나 잘못 된 것일까? 우리는 어떻게 변해야 할 것인가? 한국 사회에서 냉정하게 버림받고 있는 기독교. 나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가?
728x90
      行間의 어울림/神學과 信仰  |  2008. 9. 17. 20:33



Late spring's Blog is powered by D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