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검색


728x90
김용규 지음 / 이론과실천 / 2002년 2월

행복, 희망, 시간, 사랑, 죽음, 성. 지은이가 내세운 여섯 가지의 주제는 인간이 자리하고 있는 실존에 관한 것들이다. '우리는 왜 사는가? 무엇을 위해 사는가?'의 질문에 '우리는 행복을 위해 산다.'고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이 세상에 인간 실존이 행복을 느끼고만 살지 않는다. 도리어 숱한 좌절과 절망, 고통 속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는가? 그것에 대한 첫번째 답은 존재 그 자체를 기뻐하는 것이 행복이라 말한다. 

있는 그대로를 인정할 수 있을 때, 그 무엇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이해할 때 행복은 자리를 잡는다. 그럼에도 숱하게 엄습하는 이 세상의 고통에 대한 대답으로 지은이는 '희망'을 말한다. 이 희망이란 무엇인가 더이상 좌절할 수 없을 때, 그만 쓰러지는 것이 마지막 방법일 때, 도리어 고개를 내미는 것이다. 진정한 희망은 그 때에서야 비로소 희망이 된다. 

희망은 현전하는 과거와 현재, 미래 속에 있다. 실존이 처해 있는, 또는 실존이 갇혀 있는 곳이 시간아닐까? 희망이란 이 시간을 넘어서 온다. 시간에 갇힌 자는 우리 앞에 닥친 죽음의 단계에 멈춰 있을 수 밖에 없다. 이 희망이 우리로 하여금 사랑하게 한다. 그 어떤 것도 믿을 수 없고, 어떤 희망도 없이 흔들리는 것 같지만, 우리에게 희망이 있으므로, 이 세상에 대한 절망적 사랑이 아니라 보다 고귀한 것, 순결한 것, 지고지순한 것을 향해 사랑을 품는다. 

지은이가 끝으로 말하고 있는 두 주제 죽음과 성 역시 인간에게 놓여져 있는 실재이자, 극복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한계이지만, 인간다움은 이것을 인간답게 이겨내며, 인간다움의 모습으로 승화시켜 왔음을 역설하고 있다. 

이 모든 존재와 관한 이야기들을 영화를 바탕으로 써 내려간 책이 <영화관 옆 철학 까페>이다. 지은이가 보기에, 영화란 새로운 시간과 공간을 창조해 내며, 새로운 세계관을 보여주는 가장 예술다운 예술이다. 그렇기에 영화는 새롭게 창조된 시간과 공간을, 그 세계관과 더불어 해석해 내야 한다. 전적으로 새로운 질서를 부여하는 작업인 것이다. 

그런 바탕 위에 영화를 통해 드러난 존재의 문제들을 서양의 여러 철학자들의 입을 통해 두루두루 엮어낸 그의 글들은, 또다른 창작이며, 말 그대로의 영화읽기가 된다. 내 인생의 영화라고 꼽을만한 영화들이 내게 그런 의미일 수 있었떤 있었던 것은, 영화가 단순히 즐김의 대상이 아니라, 사유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728x90
      行間의 어울림/寫眞과 映畵  |  2008. 9. 17. 20:40



Late spring's Blog is powered by D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