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검색


728x90
조연현 지음 / 한겨레출판 / 2001년 7월

세수를 했더니, 얼굴에 까칠한 것들이 돋아난다. 피부가 안 좋은 탓에 건조한 겨울이 되면 늘상 겪는 일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내 마음밭은 어떠한가 하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다. 세수를 한 듯 한숨을 내쉬고 나면 감춰졌던 생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두 숨을 쉬면 마음 밭은 깊은 고랑이 생겨나고, 세 숨을 내쉬면 마음 밭엔 풀들이 돋아난다. 

조연현 씨의 '나를 찾아 떠나는 17일간의 여행'은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 볼만한 곳들을 소개하고 있다. 역사의 시계추는 이성을 모든 것의 기준으로 알던 시대를 건너 다시 영성의 문제에 관심 갖도록 사람들을 이끌고 있다. 마음의 문제는 곧 영성의 문제이고, 영성의 문제는 삶의 방식이 아닌 세계관에 관한 문제로 옮아간다. 어떤 생각으로, 어떤 마음으로 이 세상을 바라보고, 느끼며, 행동하며 살아갈 것인가에 따라 이 세상은 충분히 다르게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 책에 소개된 17 군데의 영성 수련원들은 그러한 확신을 매듭지어 준다. 

이 책은 수련과 마음 수행의 방법들이 무척 다양하다는 것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종교도 다르고, 역사도 다르고, 문화도 다른 조건 속에서 방법이 같다면 오히려 이상할 것이다. 삶의 처지와 조건이 다른 곳에서 다른 방식으로 익혀진 것들이지만, 그것들은 모두 하나로 귀결된다. 모든 문제의 근원은 마음에 있다는 것,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게 되면 주변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마음 수련이라는 것이 본래 자기의 마음에 집중하고, 개인적 삶을 성찰하는 것에 목표가 있기에, 부당하고 불의한 주변의 삶을 변화시키려는 역동적 실천을 가로막는다는 비판도 있지만 이 책을 읽다 보면 마음의 문제와 사회의 문제가 실은 다른 둘이 아니라 하나인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깨장에 가면 파트너의 손으로 먹여 주는 식사를 할 수 있다. 서로가 서로임을, 나는 너이고 너는 나임을 드러내는 실천적 행위로 서로 음식을 먹여 준다. 그 사람의 얼굴을 빤히 들여다보는 것 속에도 이미 모두가 한 몸임을 알게 하는 힘이 있다. 깨장에 참여했던 유리 씨가 분노 때문에 운동했던 과거를 돌이켜 아름다움을 지키기 위한 운동을 하겠다고 마음먹는 것처럼 마음 수련은 우리의 생각을 변화시키고, 삶의 방식까지 변화시키게 된다. 

참선이나 위빠사나 수행을 통해서는 마음을 갈고 닦아 아무 것도 마음에 접근할 수 없는 경지를 가르쳐주고, 천도교 시천주수련을 통해서는 온 우주 만물에 빗대어 작디 작은 자아를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그 자아 안의 시련과 번민이 얼마나 작은 것인가를 가르쳐 주고 있다. 끝없이 마음 경계에 벌어지는 마음들의 투쟁을 조용히 바라봄으로써 마음의 번민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게하는 원불교 마음공부, '구나', '겠지', '감사'의 끝글자를 합친 나지사를 통해 마음과 화해하는 법을 알게하는 동사섭, 절대자와의 끊임없는 대화로 존재의 의미와 고통의 의미를 밝히는 영신 수련. 부루더 호프의 공동체적 삶.

이 책의 장점은 무엇보다 글쓴이가 모든 수행에 직접 참가해 보았다는데 있다. 하나 하나 참가하면서 느꼈던 것들을 바탕으로 그것의 의미를 찾아줌으로써 읽는 이로 하여금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책 뒷편에 수련에 참가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적어두어 마음만 먹는다면 언제라도 달려갈 수 있게 해 놓았다. 마냥 이곳에 등장하는 단체들을 바라다보고만 있기엔 글들이 끌어당기는 힘이 너무 크다. 마음 속 풀들이 풀 밭을 만들기 전에 마음 밭을 다시 들여다보아야겠다.
728x90
      行間의 어울림/神學과 信仰  |  2008. 9. 17. 20:35



Late spring's Blog is powered by Daum